업무 중 갑작스러운 이슈가 터졌을 때,
누군가는 우왕좌왕하며 혼란에 빠지고,
누군가는 묵묵히 상황을 정리하며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낸다.
같은 위기 속, 전혀 다른 반응.
당황하지 않고 문제를 푸는 사람들에겐 공통된 사고방식이 있다.
당황은 감정, 대응은 훈련의 결과
위기 상황에서 당황하는 건 누구나 마찬가지다.
하지만 그 감정을 얼마나 빨리 컨트롤하느냐가 문제 해결의 출발점이다.
일이 터졌을 때 필요한 건 감정적인 반응이 아니라 구조적인 사고다.
당황하지 않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3단계로 생각을 정리한다.
위기 대응을 위한 3단계 질문법
단계질문목적
1단계 | 지금 상황에서 '확실히 알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 감정적 추측을 줄이고, 팩트에 집중 |
2단계 | 지금 내가 '통제할 수 있는 부분'은 어디인가? | 실행 가능한 범위 설정 |
3단계 | 이 상황에서 '최악의 경우'는 무엇이며, 나는 준비되어 있는가? | 심리적 안정 확보 |
이 단계를 거치면,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도 생각이 정리되고 냉정한 판단이 가능해진다.
위기에서 평정을 유지하는 사람들의 5가지 습관
- 문제를 말로 풀기보다, 글로 정리한다
머릿속을 정리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종이에 쓰는 것.
팩트, 변수, 우선순위를 시각화해보면 당황할 틈이 줄어든다. - '지금 할 수 있는 행동'부터 착수한다
완벽한 해결책보다, 한 걸음 나아가는 게 중요하다.
메일 보내기, 회의 잡기, 로그 확인 등 작게 시작한다. - '내가 감당할 수 있는 것과 아닌 것'을 명확히 구분한다
책임을 혼자 다 지려 할수록 무너진다. 협업은 위기 대응의 핵심이다. - 사실 확인 전, 결론 내리지 않는다
추측과 판단을 섞으면 더 큰 혼란을 낳는다. 데이터 중심 사고가 필요하다. - 과거 경험을 자산으로 활용한다
이전에 겪은 유사 상황이 있다면, 그 해결 과정을 다시 복기해본다.
패턴 인식 능력은 위기 대응의 강력한 무기다.
결국, 문제를 푸는 사람은 훈련된 사람이다
일이 터졌을 때 ‘멘붕’ 오는 건 자연스러운 감정이다.
하지만 중요한 건, 그 순간 어떻게 회복하고 판단 가능한 상태로 복귀하는지다.
당황하지 않는 사람은 침착한 사람이 아니라, 사고 훈련이 잘 된 사람이다.
그들은 반복된 위기 속에서,
문제를 풀 수 있다는 **‘경험 기반의 확신’**을 쌓아왔을 뿐이다.
당신도 앞으로 일을 하다 보면 수많은 위기를 겪을 것이다.
그때마다 기억하자.
위기는 두려움이 아니라, 문제 해결력을 높이는 훈련 기회라는 것을.